『악학궤범(樂學軌範)』은 1493년(성종 24년)에 왕명에 따라 성현 등 조선의 음악 전문가들이 편찬한 서적입니다. 이 책은 조선 전기 예악(禮樂)의 제도를 집대성한 국악 백과사전으로, 단순한 악보집이 아닌 음악과 관련된 모든 것을 기록했습니다.
편찬 배경
성종은 유교적 이상 국가 실현을 위해 '예악' 정비를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음악은 백성을 교화하고 국가 기강을 세우는 수단으로 인식되었고, 이에 따라 『악학궤범』은 조선의 음악 이론, 제도, 실제 연주 등을 국가 표준으로 확립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구성과 내용
총 9권 9책으로 구성된 『악학궤범』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음악 이론: 음률과 악조의 변천 과정, 음양오행과 음률의 관계 등을 설명합니다.
음악 제도: 음악 관리 기관인 전악서의 조직, 음악을 담당하는 악사 제도 등을 상세히 기록했습니다.
악기 해설: 편종, 장고, 퉁소 등 60여 종의 악기 형상, 재질, 연주법을 그림과 함께 수록했습니다. 이 '악기 도설'은 악기 복원의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의례와 음악: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 등 국가 의식에 사용되는 음악과 절차를 기록했습니다.
가사 및 악장: 궁중 연회나 행사에 사용되었던 노랫말과 악장(樂章)을 수록했습니다.
가치와 의의
『악학궤범』은 국악 연구에 있어 다음과 같은 가치를 지닙니다.
제도와 실제 기록: 조선 전기 국악의 제도와 실제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1차 사료입니다.
종합 예술서: 음악뿐만 아니라 악기 그림(미술사), 가사(문학), 제도사, 철학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학술 자료입니다.
복원의 기준: 임진왜란 이후 소실된 악기나 음악을 복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현재 연주되는 종묘제례악 등의 복원 연구는 이 책을 기반으로 합니다.
교육 자료: 국악 전공자와 연구자들에게 필수적인 교육 및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악학궤범』은 단순한 음악책이 아니라, 조선의 사상과 문화를 담은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이 책은 국악의 뿌리를 이해하고,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데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합니다.